맨위로가기

2009년 7월 22일 일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9년 7월 22일 일식은 인도 북부, 네팔 동부, 방글라데시 북부, 부탄, 미얀마 북부, 중국 중부, 태평양 일부 지역에서 관측된 개기일식이다. 일본의 토카라 열도, 중국의 상하이, 항저우 등 인구 밀집 지역이 개기일식대에 포함되어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한국에서는 전국에서 부분일식이 관측되었다. 이 일식은 달이 근지점 근처에 있었고 지구가 원일점 근처에 있어 개기일식 지속 시간이 길었고, 사로스 136 주기의 일부였다. 인도에서는 종교적인 행사로 수천 명의 순례자들이 갠지스 강 유역에 모였으며, 중국 정부는 과학 교육의 기회로 활용했다. 일본에서는 46년 만에 개기일식을 관측할 기회였지만, 흐린 날씨로 인해 관측이 어려웠으며, 한국에서는 온라인 생중계가 접속자 폭주로 취소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네팔 - 2009년 AFC 프레지던트컵
    2009년 AFC 프레지던트컵은 2009년에 개최되었으며, 11개국 리그 우승팀이 참가하여 조별 예선은 네팔, 방글라데시, 키르기스스탄에서, 결선 토너먼트는 타지키스탄에서 진행되었고, 레가르 타다즈 투르순조다가 우승을 차지했다.
  • 2009년 인도 - 녹색사냥작전
    2009년 인도에서 시작된 녹색사냥작전은 정부가 준군사 요원 1만 명을 투입하여 마오주의 반군을 소탕하기 위한 작전으로, 헬리콥터 지원, 기술 및 장비 활용, UAV 개발, 드론 도입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 2009년 과학 - APG III 분류 체계
    APG III 분류 체계는 속씨식물을 8개의 주요 분류군으로 나누고, 413개의 과를 인정하며, 14개의 새로운 목을 추가하는 등 APG II 체계에서 변화를 겪었다.
  • 2009년 과학 - 솔러 임펄스
    솔러 임펄스 프로젝트는 베르트랑 피카르와 앙드레 보르슈베르크가 태양 에너지를 활용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제시하기 위해 시작한 태양광 항공기 개발 프로젝트로, 솔러 임펄스 2호는 세계 일주 비행에 성공하며 지속 가능한 기술 개발의 중요성을 알렸다.
2009년 7월 22일 일식
개요
명칭2009년 7월 22일 일식
영어 명칭Solar eclipse of July 22, 2009
2009년 7월 22일의 일식
2009년 7월 22일의 일식
날짜 및 시간
날짜2009년 7월 22일
부분식 시작2009년 7월 21일 23시 58분 18초
금환식 시작00시 51분 16초
중심식 시작00시 54분 31초
최대 식02시 35분 21초
중심식 종료04시 16분 13초
금환식 종료04시 19분 26초
부분식 종료05시 12분 25초
식의 성격
종류개기 일식
감마0.0696
크기1.0799
지속 시간398초 (6분 38.8초)
최대 폭258.4km
위치 정보
최대 식 위치태평양
사로스 주기
사로스 번호136
사로스 주기 순서37
사로스 주기 총 횟수71

2. 관측 지역 및 현상

2009년 7월 22일 오전 9시 34분(서울 기준)부터 개기일식이 발생했다. 이 일식은 인도, 방글라데시, 중화인민공화국 등을 지나는 좁은 경로를 따라 진행되었으며, 중국의 상하이, 항저우 등 인구 밀집 지역과 일본의 토카라 열도 등이 개기일식대에 포함되었다.

한국에서는 개기일식 경로에 포함되지 않아 부분일식을 관측할 수 있었다. 서울 기준으로 오전 9시 34분에 시작된 부분일식은 10시 48분~49분경 태양면의 약 80%가 가려지며 최대에 이르렀고, 낮 12시 6분에 종료되었다.[37] 기상청은 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태양이 가려지면서 기온이 평소보다 2°C에서 4°C가량 낮아졌다고 발표했다.

한반도에서 관측 가능한 다음 개기일식은 2035년 9월 2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평양직할시, 금강산 부근과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일부 지역에서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37]

2. 1. 관측 조건

갠지스 강에서 보트에서 본 모습


인도 바라나시의 갠지스 강에서 일식을 보기 위해 모인 사람들.


개기일식은 인도 북부, 네팔 동부, 방글라데시 북부, 부탄, 미얀마 북부, 중국 중부, 태평양을 지나가는 좁은 경로에서 관측되었다. 이 경로는 류큐 열도 북부, 화산 열도 전체(남이오 섬 제외), 마셜 제도, 키리바시 등을 포함했다. 부분일식은 동남아시아 대부분,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북부, 하와이 등 더 넓은 지역에서 볼 수 있었다.

NASA는 기타이오 섬이 아시아 대륙보다 더 긴 관측 시간과 낮은 구름 덮개 확률로 최고의 관측 조건을 갖출 것으로 예측했다.[8][9]
지역별 관측 상황

  • 일본: 일본에서는 46년 만에 찾아온 개기일식에 대한 기대가 컸으나, 당일 많은 지역이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흐리거나 비가 내려 관측이 어려웠다. 가고시마현 토카라 열도의 아쿠세키섬에서는 폭풍우가 몰아쳤고[29], 아마미오섬에서는 개기 직전에 구름이 두꺼워졌다. 하지만 키카이섬에서는 구름 사이로 간신히 관측할 수 있었다. 한편, 예측대로 이오섬 부근은 날씨가 맑아 선박 관측 투어 참가자들은 좋은 조건에서 일식을 관측했다. 국립천문대 관측반은 NICT, JAXA, NHK와 협력하여 이오섬에서 관측을 진행하고, 초고속 인터넷 위성 키즈나를 통해 생중계했다.[28] 일본 국내 다른 지역에서도 구름 사이로 부분일식이 확인된 곳이 있었다.

  • 중국: 일식 경로상 가장 큰 도시였던 상하이에서는 비가 내리고 짙은 구름이 끼어 관측이 어려웠다.[6][7][30] 우시, 쑤저우, 청두 등 다른 많은 도시에서도 태양 관측이 불가능했다.[30] 그러나 충칭, 우한, 항저우 등 일부 지역에서는 얇은 구름 사이로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었으며, 개기일식 전후의 다이아몬드 링 현상도 볼 수 있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이번 일식을 과학 교육의 기회로 삼아 미신을 없애고자 노력했으며, 우한에서 상하이로 가는 중국 동방 항공 항공편은 일식 경로를 따라 우회 비행하여 탑승한 과학자들이 더 오랫동안 관측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 인도: 갠지스 강 유역의 바라나시에는 수천 명의 순례자들이 모여 일식을 종교적 또는 영적인 의미로 경험했다.[12] 일부 지역에서는 날씨가 맑아 개기일식 중 홍염을 관측할 수도 있었다. 인도 과학자들은 인도 공군 비행기에서 일식을 관측했다.[13]

  • 방글라데시: 약 3분 44초 동안 개기일식이 지속된 방글라데시에서는 비가 오고 흐린 날씨에도 불구하고 수천 명의 사람들이 얇은 구름을 통해 일식을 목격할 수 있었으며, 다이아몬드 링 관측도 가능했다.

  • 부탄: 부탄의 일부 지역에서도 맑은 날씨 덕분에 홍염 관측이 가능했다.

기타이 일식은 상하이와 항저우에서만 약 3천만 명이 관측한 것으로 추정되어,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이 관측한 개기일식일 가능성이 있다.[11] 갠지스 강에서 일식을 지켜보는 수천 명의 관찰자들의 모습은 브라이언 콕스가 진행한 사이언스 채널의 우주의 경이 시리즈에 담겼다.[10] 또한, 기상위성 히마와리 7호가 지구에 드리워진 달 그림자를 촬영한 사진이 공개되기도 했다.[26][27]

2. 2. 천문학적 특징

2009년 7월 22일 일식의 경로.


크기를 동일하게 조정한 보름달(원지점 부근)과 거의 초승달(지구 조명으로 보임)의 겉보기 지름 비교. 이 일식에서는 달이 근지점에 있어 겉보기 지름이 더 컸다.


2009년 7월 22일에 발생한 이 개기일식은 21세기에 일어난 일식 중 가장 긴 지속 시간을 기록했다. 최대 지속 시간은 6분 38.86초였으며, 이는 2132년 6월 13일에 발생할 일식(6분 55초 예상) 이전까지는 가장 긴 기록이다.[14]

이처럼 개기일식 지속 시간이 길었던 이유는 천문학적 조건이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당시 은 궤도상 지구와 가장 가까운 지점인 근지점 근처를 지나고 있었고, 반대로 지구는 공전 궤도상 태양과 가장 먼 지점인 원일점 근처에 위치했다. 이로 인해 지구에서 본 달의 겉보기 지름은 평소보다 커 보였고(태양보다 약 8% 더 큼, 식분 1.07991), 태양의 겉보기 지름은 상대적으로 작아 보여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시간이 길어졌다.[36][16] 이와 대조적으로, 같은 해 1월 26일의 금환 일식 때는 달이 원지점 근처에 있어 겉보기 지름이 태양보다 약 7% 작았고, 다음 해 2010년 1월 15일의 금환 일식 때도 달의 겉보기 지름이 태양보다 약 8% 작았다.

일식의 최대 지속 지점(극대점)은 UTC 기준 02시 35분 21초, 일본 남동쪽 보닌 제도(오가사와라 제도)에서 남쪽으로 약 100km 떨어진 태평양 해상에서 형성되었다. 육지 중에서는 무인도인 기타이오 섬이 최대 지속 시간에 가장 가까웠으며, 사람이 거주하는 곳 중에서는 가고시마현의 아쿠세키 섬이 가장 가까웠고 이곳에서는 6분 26초 동안 개기일식이 관측되었다.[34][14] 특정 크루즈 선박(코스타 클래시카)은 이 지점에서 일식을 관찰하며 중심선을 따라 이동하여 관측 시간을 6분 42초까지 연장하기도 했다.

이 일식은 사로스 주기 136번 시리즈에 속한다. 이 시리즈는 18년 11일마다 반복되며, 총 71번의 일식(1360년~2622년)으로 구성된다. 1721년부터 2496년까지는 개기일식이 발생하며, 이 주기의 모든 일식은 달의 강하점에서 일어난다. 사로스 136 주기에서 가장 길었던 개기일식은 1955년 6월 20일의 7분 7.74초였다.[24] 2009년 일식 직전의 같은 주기 일식은 1991년 7월 11일(6분 53초)이었고, 다음 일식은 2027년 8월 2일(예상 6분 22.64초)에 발생할 예정이다.[35][15]

3. 한국에서의 관측

대한민국에서는 2009년 7월 22일에 부분일식이 관측되었다. 이날 일식 관측을 위한 행사가 전국적으로 열렸으며, 많은 시민들이 참여했다.

3. 1. 관측 행사

무봉산청소년수련원 천문우주관경남김해천문대김해천문대경북포항제철동초등학교 운동장아마추어천문학회 대구경북지부영양반딧불이천문대영양반딧불이천문대예천천문과학문화센터 내 '별 천문대'예천천문과학문화센터보현산천문대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대구경북대학교 북문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대구스타디움 동광장아마추어천문학회 대구경북지부대전대전 은행동 거리충남대학교 천문우주학과국립중앙과학관국립중앙과학관대전시민천문대대전시민천문대부산부산역 광장전국대학생행사기획단 부산대부산 해운대 해변부산과학기술협의회금련산천문대금련산천문대서울서울대학교 광학천문대 제1관(46동)서울대학교 천문학과서울시 광진구 광진광장 앞세종대학교 천문우주학과롯데월드 야외파크세종대학교 천문우주학과신촌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앞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연세대 KVN 천문대KVN 연세전파천문대왕십리역 앞 광장플레이아데스서울 코엑스 앞 광장경희대학교 천문우주학과전남순천만자연생태공원 내 천문대, 잔디광장순천시청 관광진흥과 순천만천문대섬진강천문대섬진강천문대전북전북도청 광장아마추어천문학회 전북지부남원시 산동면 만행산천문체험관아마추어천문학회 전북지부무주 반디랜드 내 천문과학관무주반디별천문과학관제주탐라대학교 내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제주 별빛누리공원제주별빛누리공원충북충북 진천군 진천읍 화랑관충북대학교 천문대충북대학교병원 내 병원 학교충북대학교 천문대


3. 2. 온라인 생중계

대한민국에서 부분일식이 진행되는 2009년 7월 22일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부분일식을 온라인으로 생중계할 계획이었다. 일식 생중계 시간에 해당 웹페이지로 접속하면, 일식이 진행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준비되었다.[42] 부분일식을 온라인 생중계하기로 예정되었던 기관은 아래와 같다.

기관위치/소속
2009 세계 천문의 해KISTI 가시화실
국립과천과학관과천
국토정중앙천문대양구
부산과학기술협의회해운대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서귀포시
제주별빛누리공원제주시
한국천문연구원보현산



그러나 당일 접속자가 급격히 늘어나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여 생중계는 취소되었다. 관계자는 "오전 9시 경부터 급격히 접속자가 늘어나서 생중계가 불가능해졌다. 대중의 천문 현상에 대한 높은 관심을 알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4. 사회/문화적 반응

대한민국에서는 22일 오전 비교적 날씨가 좋아 전국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부분일식을 관측할 수 있었다. 일부 기관에서는 일식 장면을 인터넷 생중계하려 했으나, 접속자가 너무 많이 몰려 중계가 취소되는 일도 있었다.

다른 국가들에서도 다양한 반응이 나타났다. 인도에서는 힌두교 신자들이 갠지스강에 모여 정화 의식을 치르려다 혼잡으로 사상자가 발생하기도 했고,[38][39] 중국 정부는 이번 일식을 미신 타파와 과학 교육의 기회로 삼으려 했다.[40] 일본에서는 46년 만에 찾아온 개기일식 관측 기회에 대한 기대가 컸으나, 당일 흐린 날씨 때문에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관측이 어려웠다.[41]

4. 1. 해외 반응

4. 2. 일본 반응

일본에서는 46년 만에 찾아온 개기일식 관측 기회에 많은 기대를 모았으나[41], 당일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많은 지역에서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내려 관측이 어려웠다.[41]

개기일식대가 통과하는 주요 지역은 토카라 열도 전역, 아마미오섬 북부, 키카이섬, 야쿠섬, 다네가섬 남부, 이오섬 등이었다. 특히 일본 육지에서 개기일식대 중심에 가장 가까워 6분 25초간 개기일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었던 가고시마현 토카라 열도의 아쿠세키섬에서는 당일 폭풍우가 몰아쳤고[29], 아마미오섬에서는 개기일식 직전에 구름이 두꺼워졌다. 키카이섬에서는 간신히 관측할 수 있었다.

반면, 이오섬 부근 해상은 날씨가 맑아 선박을 이용한 일식 관측 투어 참가자들은 좋은 조건에서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었다. 그 외 일본 국내 다른 지역에서도 구름 사이로 부분일식이 확인되기도 했다.

국립천문대 관측반은 NICT, JAXA, NHK와 협력하여 이오섬에서 관측을 진행했으며, 초고속 인터넷 위성 키즈나를 통해 영상을 생중계했다.[28] 또한 기상위성 히마와리 7호가 촬영한, 지구에 달의 본그림자가 드리워진 모습이 담긴 사진이 공개되기도 했다.[26][27]

한편, 개기일식 관측 명소로 주목받은 아쿠세키섬 등 토카라 열도의 섬들에는 수용 가능 인원을 훨씬 넘는 관광객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에 해당 지역 행정단위인 토시마 촌은 여행사에 투어 개최를 위탁하고 물자 준비, 의료 인력 확보, 기반 시설 정비 등을 진행하는 한편, 투어 참가자 외의 방문 자제를 요청했다.[3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사람들이 상륙을 강행하여 마을 측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

5. 관련 일식

2009년 1월 26일 일식은 금환 일식으로, 이 원지구점 근처에 있어 지구에서 본 달의 시지름이 태양보다 7% 작았다. 이어지는 2010년 1월 15일 일식 역시 금환 일식으로, 달의 시지름이 태양보다 9% 작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는 달이 근지구점 근처에 있어 달의 시지름이 태양보다 8% 더 컸던 2009년 7월 22일 개기일식과 대비된다.[36]

한반도에서는 2035년 9월 2일에 개기일식이 관측될 예정이며, 관측 가능 지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평양직할시와 금강산 부근, 대한민국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일부 지역이다.[37]

=== 사로스 주기 136 ===

이 일식은 사로스 주기 136에 속한다. 같은 주기의 대표적인 과거 일식으로는 1991년 7월 11일 일식(지속 시간 6분 53초)이 있으며, 다음 일식은 2027년 8월 2일에 일어날 예정이다.[35]

사로스 주기 136은 18년 11일마다 반복되며 총 71번의 일식이 발생한다. 이 주기는 1360년 6월 14일 부분 일식으로 시작되었다. 1504년 9월 8일부터 1594년 11월 12일까지 금환 일식이, 1612년 11월 22일부터 1703년 1월 17일까지 혼합 일식이, 1721년 1월 27일부터 2496년 5월 13일까지 개기 일식이 나타난다. 이 주기는 2622년 7월 30일 부분 일식으로 71번째 일식으로 끝을 맺는다. 금환성의 최대 지속 시간은 1504년 9월 8일의 9번째 일식으로 32초였고, 개기 일식의 최대 지속 시간은 1955년 6월 20일의 34번째 일식으로 7분 7.74초였다. 이 주기의 모든 일식은 달의 강하점에서 발생한다.[24]

사로스 주기 136의 26~47번째 일식 (1801년 ~ 2200년)
262728
1811년 3월 24일 일식

1811년 3월 24일
1829년 4월 3일 일식

1829년 4월 3일
1847년 4월 15일 일식

1847년 4월 15일
293031
1865년 4월 25일 일식

1865년 4월 25일
1883년 5월 6일 일식

1883년 5월 6일
1901년 5월 18일 일식

1901년 5월 18일
323334
1919년 5월 29일 일식

1919년 5월 29일
1937년 6월 8일 일식

1937년 6월 8일
1955년 6월 20일 일식

1955년 6월 20일
353637
1973년 6월 30일 일식

1973년 6월 30일
1991년 7월 11일 일식

1991년 7월 11일
2009년 7월 22일 일식

2009년 7월 22일
383940
2027년 8월 2일 일식

2027년 8월 2일
2045년 8월 12일 일식

2045년 8월 12일
2063년 8월 24일 일식

2063년 8월 24일
414243
2081년 9월 3일 일식

2081년 9월 3일
2099년 9월 14일 일식

2099년 9월 14일
2117년 9월 26일 일식

2117년 9월 26일
444546
2135년 10월 7일 일식

2135년 10월 7일
2153년 10월 17일 일식

2153년 10월 17일
2171년 10월 29일 일식

2171년 10월 29일
47
2189년 11월 8일 일식

2189년 11월 8일



=== 메토닉 주기 ===

메토닉 주기는 19년(6939.69일)마다 일식을 반복하며 약 5주기 동안 지속된다. 일식은 거의 같은 날짜에 발생한다. 또한 옥톤 부분 연쇄는 그 중 1/5, 즉 3.8년(1387.94일)마다 반복된다. 이 표의 모든 일식은 달의 하강 노드에서 발생한다.

{| class="wikitable"

!colspan=5|메토닉 주기에 따른 21번의 일식 (1971년 7월 22일 ~ 2047년 7월 22일)

|-

!7월 22일

!5월 9–11일

!2월 26–27일

!12월 14–15일

!10월 2–3일

|-

!116

!118

!120

!122

!124

|- style="text-align:center;"

|

1971년 7월 22일 일식

1971년 7월 22일

|
1975년 5월 11일 일식

1975년 5월 11일

|
1979년 2월 26일 일식

1979년 2월 26일

|
1982년 12월 15일 일식

1982년 12월 15일

|
1986년 10월 3일 일식

1986년 10월 3일

|-

!126

!128

!130

!132

!134

|- style="text-align:center;"

|
1990년 7월 22일 일식

1990년 7월 22일

|
1994년 5월 10일 일식

1994년 5월 10일

|
1998년 2월 26일 일식

1998년 2월 26일

|
2001년 12월 14일 일식

2001년 12월 14일

|
2005년 10월 3일 일식


6. 사진



게재되지 않은 이미지에 대해서는 위키미디어 공용 링크를 참조할 수 있다.

6. 1. 개기 일식



개기 일식은 북부 인도, 동부 네팔, 북부 방글라데시, 부탄, 미얀마 북부, 중국 중부, 그리고 태평양을 지나가는 좁은 지역에서 관측되었다. 이 경로는 류큐 열도 북부, 화산 열도 전체(남이오 섬 제외), 마셜 제도, 키리바시를 포함했다.

개기 일식은 다음 주요 도시 및 지역에서 관측되었다.

이 일식은 21세기에 일어나는 일식 중 개기 지속 시간이 가장 길었다.[25] 최대 지속 시간은 북위 24도 12분 36초, 동경 144도 06분 24초 지점에서 6분 38.8초 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일본 육지 중 개기대 중심에 가장 가까운 가고시마현 토카라 열도의 아쿠세키섬에서는 6분 25초였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기타이오 섬이 아시아 대륙보다 더 긴 관측 시간과 낮은 구름 확률을 가져 최고의 관측 조건을 갖출 것으로 예측했다.[8][9]

지구상에 본영이 드리워진 모습은 기상위성 히마와리 7호가 촬영하여 공개되었다.[26][27] 국립천문대 관측반은 NICT, JAXA, NHK의 협력 하에 이오섬에서 관측을 실시하고 초고속 인터넷 위성 키즈나를 통해 영상 생중계를 실시했다.[28]

그러나 당일 날씨는 관측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본의 많은 지역에서는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흐리거나 비가 내렸다. 아쿠세키섬에서는 폭풍우가 몰아쳤고[29], 아마미오섬에서는 개기 직전에 구름이 두꺼워져 관측이 어려웠으며, 간신히 키카이섬에서만 관측이 가능했다. 중국에서 가장 많은 천문학 팬과 관광객이 모인 상하이에서는 비가 내리고 짙은 구름으로 인해 개기일식 시간에 하늘이 어두워지는 현상만 관찰되었을 뿐, 직접적인 관측은 어려웠다.[6][7] 우시, 쑤저우, 청두 등 다른 많은 지점에서도 태양 관측이 불가능했다.[30]

한편, 일본 이오섬 부근은 날씨가 맑아 선박을 이용한 일식 관측 투어 참가자들은 매우 좋은 조건에서 일식을 관측할 수 있었다. 부탄이나 인도의 일부 지역에서도 맑은 날씨 덕분에 개기일식 중 홍염 관측이 가능했다. 충칭, 우한, 항저우와 방글라데시, 인도의 많은 지점에서는 얇은 구름 사이로 개기일식을 충분히 관측할 수 있었고, 개기일식 전후의 다이아몬드 링 현상도 볼 수 있었다. 일본 국내 다른 지역에서도 장소에 따라 구름 사이로 부분일식이 확인되었다.

이 일식과 바라나시에서 수천 명의 관찰자들이 보인 반응은 브라이언 콕스가 진행한 사이언스 채널의 우주의 경이 시리즈에 담겼다.[10] 또한 상하이와 항저우에서만 약 3천만 명이 관측하여,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이 관측한 개기 일식일 가능성이 있다.[11]

6. 2. 부분 일식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서 천체망원경과 태양필터로 촬영한 부분 일식 사진이다. 식의 극대점은 10시 48분이었으며, 아래 사진들은 극대점 직전부터 식이 끝나기 직전까지의 모습이다.

아래는 다른 지역에서 관측된 부분 일식 사진이다.

방글라데시 판차고르 구에서 X선 필름으로 본 부분 일식

6. 3. 인공위성 사진

지구상에 달의 그림자가 드리워진 모습은 기상위성인 히마와리 7호가 촬영하여 공개되었다.[26][27]

참조

[1] 웹사이트 July 22, 2009 Total Solar Eclipse https://www.timeandd[...] timeanddate 2024-08-11
[2] 뉴스 Full solar eclipse turns the day to night in Asia https://newspapers.c[...] 2009-07-23
[3] 뉴스 Celestial awe, fear https://newspapers.c[...] 2009-07-23
[4] 뉴스 Asia shrouded in daytime darkness in longest eclipse until 2132 https://newspapers.c[...] 2009-07-23
[5] 웹사이트 Moon Distances for London, United Kingdom, England https://www.timeandd[...] timeanddate 2024-08-11
[6] 웹사이트 NASA – Total Solar Eclipse of 2009 July 22 http://eclipse.gsfc.[...] NASA.gov 2009-07-22
[7] 문서 Weather conditions for cities in China during the July 22 eclipse http://www.weather.c[...]
[8] 웹사이트 NASA Map http://eclipse.gsfc.[...]
[9] 웹사이트 Total Solar Eclipse of July 2009 http://eclipse.gsfc.[...]
[10] Youtube The Solar Eclipse In Varanasi - Wonders of the Solar System - Series 1 Episode 1 Preview - BBC Two https://www.youtube.[...]
[11] 웹사이트 Solar Eclipse on July 22 May Be Most Viewed Ever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Indians enthralled by solar eclipse http://www.chinadail[...] Chinadaily.com.cn 2009-07-22
[13] 웹사이트 Khabrein.info http://www.khabrein.[...] Khabrein.info
[14] 웹사이트 Island « Total Eclipse.Jp https://web.archive.[...] Totaleclipse.jp 2009-07-22
[15] 웹사이트 August 2, 2027 Total Solar Eclipse https://web.archive.[...] Tierrayestrellas.com 2009-07-22
[16] Apod Perihelion and Aphelion 2009-07-03
[17] 웹사이트 Chandrayaan-1 https://web.archive.[...] ISRO 2009-07-22
[18] 웹사이트 Eclipse Shadows Southeastern China : Image of the Day http://earthobservat[...] 2009-07-23
[19] 웹사이트 Total Solar Eclipse of 2009 Jul 22 https://eclipsewise.[...] EclipseWise.com 2024-08-11
[20] 웹사이트 AFP: Solar eclipse sparks tourism fever in China https://web.archive.[...] 2009-07-22
[21] 웹사이트 Scientists: China the best place to observe longest solar eclipse in 2,000 years_English_Xinhua https://web.archive.[...] News.xinhuanet.com 2009-07-22
[22] 웹사이트 Indian students on solar eclipse 'odyssey' to China – Yahoo! India News https://web.archive.[...] In.news.yahoo.com 2009-07-22
[23] 웹사이트 Solar- and Lunar-Eclipse Prediction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www.staff.sci[...] Utrecht University 2018-10-06
[24] 웹사이트 NASA - Catalog of Solar Eclipses of Saros 136 https://eclipse.gsfc[...]
[25] 문서 これより長い日食が次に起こるのは、約123年後の[[2132年]][[6月13日]]と計算されている。最大6分55秒にわたる日食が起こると予測されている。
[26] 문서 平成21年7月22日の日食時に、静止気象衛星「ひまわり」が観測した画像を気象庁ホームページで公開します
[27] 문서 宇宙から見る月の影 - H21/7/22日食時の「ひまわり」画像
[28] 문서 国立天文台・7.22皆既日食中継
[29] 문서 当日20時から放送された[[南日本放送]]『[[どーんと鹿児島]]』において、皆既日食時間帯が一番酷かったとの現地からのリポートがあった。
[30] 문서 ただし、中国の1つの都市の市域は、重慶市は北海道ほど、上海市でも群馬県ほどの面積があるなど、非常に広く、例えば上海市でも[[浦東新区]]の滴水湖周辺では太陽が観測できたとの報告もあり、すべての地域で観測できなかったわけではない。もちろんその反対に、観測ができたとされる都市でも、例えば杭州市の上海寄りの地域は厚い雲に覆われるなど、すべての地域で観測ができたわけではない。
[31] 뉴스 世界最初の「黒い夜明け」 インドでも日食、死者も https://web.archive.[...] 2009-07-22
[32] 뉴스 皆既日食見るため…中国がロケット発射を検討 http://www.yomiuri.c[...] 読売新聞社 2009-07-21
[33] 뉴스 皆既日食 “自粛破り”上陸者続出…悩み尽きないトカラ列島 http://www.iza.ne.jp[...] 産経デジタル 2009-07-18
[34] 웹인용 Island: Eclipse in JAPAN 2009 more information http://totaleclipse.[...] 2009-07-22
[35] 웹인용 AUGUST 2, 2027 TOTAL SOLAR ECLIPSE http://www.tierrayes[...] 2009-07-22
[36] 웹인용 APOD: 2009 July 3 - Perihelion and Aphelion http://apod.nasa.gov[...] Apod.nasa.gov 2009-07-22
[37] 뉴스 내일 금세기 최장 일식 '쇼' 펼쳐진다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9-07-21
[38] 웹인용 Indians enthralled by solar eclipse http://www.chinadail[...] Chinadaily.com.cn 2009-07-23
[39] 뉴스 世界最初の「黒い夜明け」 インドでも日食、死者も http://www.47news.jp[...] 47NEWS 2009-07-22
[40] 웹인용 Eclipse cities put safety first http://www.chinadail[...] Chinadaily.com.cn 2009-07-15
[41] 웹인용 2009 total solar eclipse over Japan marred by weather, observers still awe inspired https://web.archive.[...] examiner.com 2009-07-23
[4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09-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